사회

성내천의 다슬기

kibiz 2025. 5. 20. 10:44

송파구 성내천에 서식하는 작은 다슬기는 우리나라 하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민물 연체동물입니다. 이 작은 생명체는 단순히 하천 바닥에 붙어 사는 생물처럼 보일 수 있지만, 사실 매우 복잡하고 중요한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그들의 식성은 생태계 건강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이번 설명에서는 성내천 다슬기의 먹이, 먹이활동 방식, 생태적 의미까지 포함하여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다슬기의 기본 정보

다슬기(학명: Semisulcospira libertina)는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담수 연체동물입니다. 성내천과 같은 하천에서 쉽게 발견되며, 조용한 물살과 자갈이나 모래 바닥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몸은 나선형 껍질을 가지고 있으며, 수서식물이나 돌, 바위에 붙어서 생활합니다.

다슬기는 일반적으로 '여과섭식자(filter feeder)' 또는 '표면섭식자(grazer)'로 분류됩니다. 즉, 물속에 떠다니는 미세한 유기물이나 바닥 표면에 붙어 있는 유기물, 미생물을 긁어 먹는 방식으로 먹이를 섭취합니다.

성내천의 다슬기
성내천의 다슬기


성내천 다슬기의 주요 먹이

성내천에 서식하는 다슬기의 주요 먹이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미세 조류(Periphyton, Aufwuchs)
    • 다슬기는 돌이나 수초에 붙은 미세 조류를 긁어먹습니다. 이들은 주로 규조류, 녹조류, 남조류 등으로 구성되며, 다슬기의 주요 에너지원입니다.
    • 미세 조류는 빛을 이용해 광합성을 하므로, 성내천의 햇빛이 잘 드는 얕은 구간에서 특히 풍부하게 자랍니다.
  2. 세균과 미생물(Bacteria & Microorganisms)
    • 물속의 유기물이나 죽은 생물체를 분해하면서 자라는 세균도 다슬기의 중요한 먹이입니다.
    • 다슬기는 이들 미생물이 형성한 생물막(biofilm)을 긁어서 섭취합니다.
  3. 유기성 부유물(Detritus)
    • 물속에 떠다니거나 바닥에 쌓인 낙엽 조각, 동식물 사체에서 유래한 부패 물질 등도 섭취합니다.
    • 이들은 다슬기에게 섬유소와 탄수화물 등의 추가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4. 물 속에 떠다니는 부유 유기물(Fine Particulate Organic Matter)
    • 물 흐름이 완만한 구간에서는 이런 작은 유기 입자들을 여과하면서 섭취할 수 있습니다.

먹이 섭취 방식

다슬기는 입 주변에 있는 '치설(齒舌, radula)'을 사용하여 돌이나 물풀 표면을 문지르듯 긁어 먹이를 섭취합니다. 치설은 미세한 이빨들이 줄지어 있는 혀 모양의 구조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조류나 미생물까지 효과적으로 먹을 수 있게 도와줍니다.

먹이 섭취는 주로 새벽이나 해 질 무렵에 활발히 이루어지며, 밤에는 먹이활동이 줄어듭니다. 이로 인해 다슬기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면서 효율적인 먹이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계절에 따른 먹이 변화

다슬기의 먹이는 계절에 따라 달라집니다. 봄과 여름에는 광합성 생물(조류, 식물성 플랑크톤)이 풍부하여 주로 이를 섭취하고, 가을과 겨울에는 물속 유기물이나 미생물 중심의 식단으로 바뀝니다. 성내천의 물 흐름이나 수온 변화, 비나 장마 등의 환경요소도 다슬기의 먹이 섭취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생태적 의미

다슬기는 하천의 ‘청소부’ 역할을 하며, 다음과 같은 생태적 의미를 지닙니다:

  • 수질 정화: 유기물과 조류를 섭취함으로써 하천의 수질을 개선하는 데 기여합니다.
  • 먹이사슬의 중간자: 다슬기는 물고기(꺽지, 쉬리, 참붕어 등)나 조류(물총새, 왜가리 등)의 먹이가 되어 생태계 에너지 흐름에 중요한 연결 고리를 형성합니다.
  • 생물다양성 지표: 다슬기의 개체 수와 건강 상태는 하천 생태계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성내천 환경과의 연관성

성내천은 서울 도심을 흐르는 도시 하천이지만, 최근에는 생태 복원 사업으로 인해 수질과 생태계가 크게 회복되고 있습니다. 물 흐름이 일정하고, 수서식물과 자연형 호안이 조성되어 다슬기에게도 매우 적합한 서식지를 제공합니다. 다슬기의 먹이인 미세조류와 유기물 역시 성내천에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어 다슬기 개체 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송파구 성내천에 살고 있는 작은 다슬기는 다양한 유기물과 미세 조류, 미생물을 섭취하며 살아가며, 먹이 섭취 활동을 통해 하천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슬기는 단순한 생물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도시 생태계의 상징과도 같은 존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