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왕조 500년, 총 27명의 임금은 어떤 정책과 사건을 남겼을까요?
이 글에서는 조선 시대 임금 이름, 재임 기간, 특징, 업적까지 블로그용으로 상세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조선은 유교를 국가 통치의 이념으로 삼았으며, 과거제, 중앙집권, 유교정치를 중심으로 국가를 운영한 대표적인 유교 국가입니다.
태조 | 1392~1398 | 고려 멸망, 조선 건국, 위화도 회군 |
정종 | 1398~1400 | 태종에게 왕위 양보 |
태종 | 1400~1418 | 왕권 강화, 사병 혁파, 호패법 |
세종 | 1418~1450 | 훈민정음 창제, 과학기술 발달 |
문종 | 1450~1452 | 세종의 아들, 병약 |
단종 | 1452~1455 | 어린 나이 즉위, 세조에 의해 폐위 |
세조 | 1455~1468 | 정변을 통한 집권, 경국대전 편찬 |
예종 | 1468~1469 | 단명 |
성종 | 1469~1494 | 경국대전 완성, 성리학 정치 확립 |
연산군 | 1494~1506 | 폭정, 사화 발생, 폐위 |
중종 | 1506~1544 | 중종반정, 조광조 개혁 시도 |
인종 | 1544~1545 | 단명 |
명종 | 1545~1567 | 을사사화, 임꺽정의 난 |
선조 | 1567~1608 | 임진왜란 발생, 붕당 정치 시작 |
광해군 | 1608~1623 | 대동법 실시, 중립 외교, 폐위 |
인조 | 1623~1649 | 인조반정, 병자호란, 삼전도 굴욕 |
효종 | 1649~1659 | 북벌론 주장 |
현종 | 1659~1674 | 예송논쟁 발생 |
숙종 | 1674~1720 | 환국정치, 장희빈 사건 |
경종 | 1720~1724 | 병약, 노론-소론 갈등 |
영조 | 1724~1776 | 탕평책, 균역법, 사도세자 사건 |
정조 | 1776~1800 | 규장각 설치, 수원 화성 건설, 개혁 군주 |
순조 | 1800~1834 | 세도정치 시작, 신유박해 |
헌종 | 1834~1849 | 세도정치 심화 |
철종 | 1849~1863 | 평민 출신 왕, 외척 정치 |
고종 | 1863~1897 | 흥선대원군 섭정, 대한제국 선포 |
A: 영조 (52년), 숙종, 정조가 가장 오래 재위한 왕들 중 하나입니다.
A: 연산군은 사화와 폭정으로 유명합니다.
A: 세종대왕입니다. 훈민정음을 창제했습니다.
조선시대 임금들을 이해하는 것은 곧 조선 500년의 정치, 문화, 외교, 사회를 이해하는 핵심 열쇠입니다. 임금마다의 정책과 사건을 안다면 한국사 공부나 블로그 콘텐츠 제작, 시험 대비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대선 보도로 본 언론의 구조적 문제와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 (5) | 2025.05.29 |
---|---|
정치인의 거짓말, 왜 반복될까? (1) | 2025.05.28 |
아름다운 청계천 (3) | 2025.05.18 |
생명의 소중함과 방생 (1) | 2025.05.18 |
인생의 계획과 실천 (5) | 2025.05.15 |